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기업가 정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기업가 정신은 경제 성장과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21세기 각국 정부가 장려하는 개념이다. 학문적으로는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기업가 개인의 특성이나 기업가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기업가 정신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거나 추출하는 행위로, 기회 인식, 위험 감수, 의사소통, 리더십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 기업가 정신은 서양과 한국에서 각각 다른 역사적 배경을 가지며, 문화적, 소수 민족, 종교적, 페미니스트, 기관, 밀레니얼, 초기, 프로젝트 기반, 사회적, 생물권 기업가 정신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성공적인 기업가는 전략 수립, 인적 자원 관리, 시장 분석, 산업 동향 파악, 팀 구성, 재정 관리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며, 교육 수준과 세금 정책 등 외부 환경의 영향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업 윤리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이 환경, 윤리, 사회공헌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여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로, 기업 자선 활동, 윤리적 경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업의 재무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이윤 추구와 상충하거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기업 윤리 - 윤리적 소비주의
    윤리적 소비주의는 소비자가 환경 보호, 사회 공헌, 공정 무역 등 윤리적 가치를 고려하여 구매 결정을 내리는 소비 형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 증가와 소비자의 가치관 변화로 확산되고 있지만, 구조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기업가 정신 - 사업
    사업은 경제 행위의 지속적인 반복 활동을 의미하며, 법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규모, 부문, 국가, 세제 혜택 등에 따라 조직과 규제가 달라지며, 회계, 상업, 재무, 마케팅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경영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된다.
  • 기업가 정신 - 사업계획서
    사업 계획서는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의사 결정 도구로, 내부 및 외부 목적에 따라 내용과 형식이 달라지며, 사업 환경 분석, 마케팅 계획, 재무 계획 등을 포함하고 상황 변화에 따라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 개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개발경제학 - 생산성
    생산성은 생산 과정에서 투입된 자원 대비 산출된 결과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총요소 생산성 등으로 측정되며, 기술 혁신, 인적 자본 개발 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기업가 정신
기업가 정신
개요
정의이윤을 얻을 목적으로 재정적 위험을 감수하는 것
관련 용어기업가
창업
창업가
특징
주요 특징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것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것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수하는 것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활용하는 것
역할
경제적 역할새로운 일자리 창출
경제 성장 촉진
혁신과 기술 발전 기여
창업의 주요 영역
영역기술 창업
사회적 기업
소상공인
스타트업
기업가 정신의 발전 과정
발전 과정아이디어 구상
사업 계획 수립
자금 조달
사업 실행
사업 확장
기업가 정신과 관련된 이론
관련 이론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이론
키르츠너의 기회 포착 이론
행동주의 이론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
중요성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
사회적 혁신의 원동력
개인의 성장과 발전 기회 제공
기업가 정신과 관련된 정부 정책
정부 정책창업 지원 정책
세제 혜택
규제 완화
기술 개발 지원
기업가 정신 교육
교육창업 교육 프로그램
창업 컨설팅
멘토링
기업가 정신과 관련된 도전 과제
도전 과제자금 조달의 어려움
시장 경쟁 심화
사업 실패 위험
정부 규제 및 정책 변화
기타
참고 문헌관련 도서 및 자료
외부 링크
외부 링크미국 중소기업청
Entrepreneur.com
Inc.com

2. 기업가 정신의 개념과 관점

21세기에 국가들은 경제 성장과 경쟁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업가 정신과 기업 문화를 장려해 왔다. 공급 측면 경제학의 종식 이후, 기업가 정신은 경제를 부양할 것으로 기대되었다.[6]

기업가 정신은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경제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7][8] 사업을 담당하는 사람을 '''기업가'''라고 부른다.

기업과 유사한 개념으로 벤처가 있으며, 독립성, 신규성, 개발 지향, 성장성을 갖춘 사업을 특히 "벤처"(약칭 "VB")라고 부른다.[182] 벤처는 새로운 '''기업'''뿐만 아니라 기존 기업이 새롭게 사업에 도전하는 경우도 포함한다.[187]

벤처는 다음과 같은 기대를 받는다.


  • 새로운 시장 분야 개척[187]
  • 신규 고용 창출[187]
  • 새로운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혁신) 창출[187]


창업률에 대한 통계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일본방송출판협회는 특정 기간 동안 설립된 기업 수를 직전 연도의 전체 기업 수로 나눈 값을 창업률로 정의한다.[183] 중소기업백서(2019)에서는 각 연령층에서 기업가(지난 1년간 직업을 바꾸거나 새로 직업을 가진 사람 중 "회사 등의 임원" 또는 "자영업자"라고 답하고, "스스로 사업을 시작했다"라고 답한 사람)의 비율을 창업률로 정의한다.[184]

창업이 활발한 이스라엘은 "스타트업 국가"라고 불린다.[185]

2. 1. 기능주의적 관점

기업가 정신에 대한 기능주의적 관점은 기업가를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을 이해하며, 기업가가 하는 일과 그들이 가진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9] 이러한 관점은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경제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7][8]

2. 2. 과정주의적 관점

기업가 정신은 '기업가적 과정'에 주목하여 대리인과 맥락 간의 상호작용에 몰두하는 과정주의적 관점으로 보기도 한다.[9]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업가 정신에 대한 맥락적 전환/접근 방식이라고도 불린다.[10][11]

2. 3. 요소

기업가 정신은 경제적 가치의 창출 또는 추출을 포함한다.[11][12][13] 기업가는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고 기업의 출범과 성장을 감독한다. 기업가 정신은 개인 또는 팀이 사업 기회를 파악하고 그 활용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고 배치하는 과정이다.

19세기 초, 프랑스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세이는 기업가 정신을 "경제적 자원을 생산성이 낮은 영역에서 생산성과 수익률이 더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광범위하게 정의했다. 기업가는 새롭고 독특한 것을 창조하는데, 이는 가치를 변화시키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기업가 정신의 기회에 참여할 수 있다. 기업가가 되기 위한 네 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자원을 재결합할 수 있는 기회나 상황이 있어야 한다.
  • 둘째, 기업가 정신은 특정 개인에 대한 우선적인 접근 권한이나 기회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과 같이 사람들 간의 차이를 필요로 한다.
  • 셋째, 일정 수준의 위험 감수가 필요하다.
  • 넷째, 기업가적 과정은 사람과 자원의 조직화를 필요로 한다.[14]

3. 기업가 정신의 역사

20세기에는 조지프 슘페터를 비롯한 오스트리아 경제학자들이 기업가 정신을 연구했다. 슘페터는 기업가를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명을 성공적인 혁신으로 전환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38] 그는 기업가 정신이 "창조적 파괴의 돌풍"[39]을 일으켜 낡은 것을 대체하고 새로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고 보았다.

슘페터는 기업가가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가가 위험을 감수한다고 보았다. 그는 불완전한 평형 상태에서 기업가가 새로운 정보를 먼저 얻어 자원을 재결합하여 이윤을 얻는다고 생각했다.[40]

초기 경제학자들은 기업가 개념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려 했다.[41] 알프레드 마셜은 기업가를 다중 작업 자본가로 보았고,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기업가를 위한 자리가 없다고 관찰했다.[42]

20세기 후반, 러시아와 중국의 정치, 사회 변화는 러시아 과두 정치인[43]과 중국 백만장자[44]를 배출하며 기업가 활동의 번영을 가져왔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이전에 창업하여 현재까지 존속하는 상가가 많다. 200년 이상 역사를 가진 기업들의 국제 단체인 에노키안 협회에는 일본에서 8개 기업이 참가하고 있다. 막말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개국과 식산흥업 정책으로 창업이 활발해져 많은 대기업들이 이 시기에 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는 종전 직후와 고도 경제 성장기에 창업이 활발했다.[188] 1970년대 일본벤처비즈니스협회 설립 무렵의 제1기 "벤처붐", 1980년대 하이테크 붐을 배경으로 한 제2기 벤처붐이 있었다.[189][188]

버블 경제 붕괴 이후 창업이 감소했지만, 인터넷 버블 이후 정보 관련 기업 창업이 활발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인의 창업 의지는 해외에 비해 낮다고 지적되고 있다.[190]

3. 1. 서양의 기업가 정신

기업가 정신에 대한 연구는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 리처드 캔틸론과 애덤 스미스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까지는 이론적으로 크게 무시되었고, 1970년대 후반 이후 경영학과 경제학의 급격한 부흥까지는 경험적으로도 무시되었다.

19세기 초, 프랑스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세는 기업가 정신을 "경제적 자원을 생산성이 낮은 영역에서 생산성과 수익률이 더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광범위하게 정의했다.

20세기에는 1930년대 요제프 슘페터와 칼 멩거, 루트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같은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들이 기업가 정신을 연구했다. 슘페터에 따르면, 기업가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명을 성공적인 혁신으로 전환할 의지와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기업가 정신은 슘페터가 "창조적 파괴의 돌풍"이라고 부른 것을 사용하여 시장과 산업 전반에 걸쳐 열등한 혁신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하고 동시에 새로운 제품,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다.

창조적 파괴가 산업의 역동성과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스라엘 키르즈너는 대부분의 혁신이 빨대 제조에서 종이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것과 같은 훨씬 더 점진적인 개선일 수 있다고 보았다.

초기에 경제학자들은 기업가 개념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려는 최초의 시도를 했다.[41] 알프레드 마셜은 기업가를 다중 작업 자본가로 보고 완전 경쟁 시장의 균형 상태에서는 경제 활동 창출자로서 "기업가"를 위한 자리가 없다는 점을 관찰했다.[42]

20세기 후반 러시아와 중국의 정치 및 사회 변화는 기업가 활동의 번영을 가져와 러시아 과두 정치인[43]과 중국 백만장자[44]를 배출했다.

2000년대에 기업가 정신은 본래의 영리 사업에서 사회적 기업가 정신으로 확장되었는데, 이는 사회적, 환경적 또는 인도주의적 목표와 함께 사업 목표를 추구하는 것을 포함하며 심지어 정치적 기업가의 개념까지 포함한다.

3. 2. 한국의 기업가 정신

조선 시대에는 상업을 천시하는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도 개성 상인 등 뛰어난 상재(商材)를 가진 기업가들이 존재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자본 형성이 억압되었지만, 김성수(경성방직 설립), 유일한(유한양행 설립) 등 일부 기업가들은 민족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해방 이후 한국은 전쟁으로 경제 기반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 이후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기업가 정신이 부활했다. 이병철의 삼성, 정주영현대 등 재벌 그룹은 한국 경제 성장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1990년대 말 IMF 외환 위기 이후에는 벤처 붐이 일면서 안철수의 안철수연구소, 김택진엔씨소프트 등 새로운 기업가들이 등장했다.

21세기 들어 IT 산업과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이 확산되고 있다. 김범수의 카카오, 이해진네이버 등은 한국을 대표하는 IT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2. 1.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상업을 천시하는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도 개성 상인 등 뛰어난 상재(商材)를 가진 기업가들이 존재했다.

3. 2. 2.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자본 형성이 억압되었지만, 김성수(경성방직 설립), 유일한(유한양행 설립) 등 일부 기업가들은 민족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3. 2. 3. 해방 이후

해방 이후 한국은 전쟁으로 인해 경제 기반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 이후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기업가 정신이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다. 이병철의 삼성, 정주영현대 등 재벌 그룹은 한국 경제 성장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1990년대 말 IMF 외환 위기 이후에는 벤처 붐이 일면서 안철수의 안철수연구소, 김택진엔씨소프트 등 새로운 기업가들이 등장했다.

3. 2. 4. 21세기

21세기 들어 IT 산업과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이 확산되고 있다. 김범수의 카카오, 이해진네이버 등은 한국을 대표하는 IT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스타트업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기업가 정신의 유형

크리스토퍼 리어와 니콜라이 볼란드는 문화적 기업가 정신을 "문화 전문직과 문화 생산 방식 간의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및 집단적 행위의 실천"으로 정의하며, 이는 창의 산업 활동 및 부문을 의미한다.[56] 이들은 저서 "문화의 사업(The Business of Culture)"(2015)에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의 문화적 기업가를 제시한다.


  • 문화적 인물(cultural personalities): 자신의 창의성을 문화적 권위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기업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개인이다.
  • 거물(tycoons): 산업적, 문화적, 정치적, 자선적 이해관계 간의 시너지를 창출함으로써 문화 영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구축하는 기업가이다.
  • 집단 기업(collective enterprises): 이윤 추구 또는 비영리 목적으로 문화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조직이다.[56]


2000년대에는 스토리텔링이 문화적 기업가 정신 연구 분야로 등장했다. 일부 학자들은 기업가를 정당성을 구축하고 시장 기회와 새로운 자본을 활용하는 "숙련된 문화 운영자"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7][58][59][60] 다른 학자들은 문화적 기업가 정신 연구에서 '서사적 전환(narrative turn)'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61]

1919년 영국 최대의 슈퍼마켓 체인인 테스코(Tesco)를 설립한 유대계 기업가인 잭 코헨 경을 기리는 런던의 기념비


"소수민족 기업가 정신"이라는 용어는 유럽과 북미에서 인종적 또는 소수 민족 집단에 속하는 자영업 사업주를 가리킨다.[62] 오랜 기간 학계 연구는 미국 또는 유럽 주류 사회에 경제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는 소수민족 기업가들의 경험과 전략을 탐구해왔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두 지역 모두의 유대인 상인과 장사꾼, 영국의 남아시아인, 미국의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프랑스의 터키인과 북아프리카인 등이 있다.[62][63] 영국의 피시 앤 칩스 산업은 유대인 기업가들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조셉 말린이 1860년대에 런던 최초의 피시 앤 칩스 가게를 열었고, 새뮤얼 아이작스는 1896년에 최초의 피시 앤 칩스 식당을 열어 22개의 레스토랑으로 확장했다.[64][65] 1882년, 유대인 형제인 랄프와 앨버트 슬래젠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포츠 브랜드 중 하나인 슬래젠저를 설립했으며, 1902년부터 윔블던에 테니스 공을 제공하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스포츠 스폰서십을 보유하고 있다.[66][67]

2010년대에는 마이애미의 쿠바인 사업주, 미국의 인도인 모텔 주인, 그리고 미국 전역의 차이나타운의 중국인 사업주를 사례로 소수민족 기업가 정신이 연구되었다. 기업가 정신은 이러한 집단에 경제적 발전을 위한 많은 기회를 제공하지만, 미국에서의 자영업과 사업 소유는 여전히 인종/민족적 측면에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68] 아시아계 기업가들의 수많은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인구 조사 데이터에 대한 최근 통계 분석에 따르면 백인은 아시아인, 흑인, 라틴계보다 고급이고 수익성이 높은 산업에서 자영업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68]

4. 1. 종교적 기업가 정신

종교적 기업가 정신은 종교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기업가 정신의 활용과, 종교가 기업가적 추구에 미치는 영향 모두를 의미한다. 종교는 사회에서 중심적인 주제이지만 기업가 정신 연구에서는 상당히 간과되고 있다.[69] 종교를 포함하면 이윤 외의 기회에 대한 초점뿐만 아니라 기업가 정신의 관행, 과정 및 목적을 포함하여 기업가 정신을 변화시킬 수 있다.[70][71] Gümüsay는 종교적 기업가 정신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기둥 모델을 제시한다. 이 기둥들은 가치, 가치관 및 형이상학 추구에서 기업가적, 사회경제적/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영적 요소이다.[72]

4. 2. 페미니스트 기업가 정신

페미니스트 기업가는 기업가 정신을 통해 페미니스트적 가치와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여성과 소녀의 삶의 질과 안녕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인이다.[73] 많은 이들이 "여성을 위한, 여성에 의한" 기업을 만들면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기업가들은 협력, 평등, 상호 존중의 윤리에 기반하여 부와 사회 변화를 창출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상업 시장에 진출하는 동기를 갖는다.[74][75] 이러한 노력은 권한 부여와 해방의 효과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76]

4. 3. 기관 기업가 정신

미국 출신의 영국 경제학자 에디스 펜로즈는 기업가 정신의 집단적 성격을 강조했다. 그녀는 현대 조직에서 인적 자원을 결합하여 사업 기회를 더 잘 포착하고 창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77] 사회학자 폴 디마지오는 1988년 논문에서 이 관점을 확장하여 "충분한 자원을 가진 조직 행위자들(기관 기업가)이 그 속에서 자신들이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이익을 실현할 기회를 발견할 때 새로운 제도가 생겨난다"고 말했다.[78] 이 개념은 널리 적용되어 왔다.[79][80][81][82]

4. 4. 밀레니얼 기업가 정신

밀레니얼 기업가는 1981년에서 1996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Y세대) 사업주를 말한다.[83] 이들은 베이비붐 세대와 초기 X세대의 자녀 세대로,[84] 디지털 기술과 대중매체를 활용하며 성장했다. 밀레니얼 세대 사업주들은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사업에 적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저커버그처럼 이들이 이룬 혁신적인 사업들이 많다.[85]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창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은데, 창업 진입 장벽으로는 경제 상황, 학자금 대출, 규제 준수의 어려움 등이 있다.[86]

4. 5. 초기 기업가 정신

초기 창업가는 사업을 설립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이다.[87] 초기 창업가는 사업 기회(Business opportunity), 즉 수익성 있는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도입하거나,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거나, 보다 효율적인 생산 방식을 개발할 가능성을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88][89] 그러나 사업이 실제로 설립되기 전에는 이러한 기회는 단지 사업 아이디어에 불과하다.[90] 다시 말해, 추구하는 기회는 본질적으로 지각적인 것으로, 초기 창업가가 달성하고자 하는 사업 결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에 의해 뒷받침된다.[91][92][93]

이러한 기회의 선행성과 가치는 사전에 확인할 수 없으며, 사라스 사라스바티(Saras Sarasvathy)의 실행 이론(Effectuation)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초기 창업가가 사업 설립을 위해 수행하는 행동의 맥락에서만 점진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94] 궁극적으로 이러한 행동은 초기 창업가가 더 이상 매력적이거나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경로로 이어지거나, (실현 가능한) 사업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사업은 중단되거나 운영 기업으로 성공적으로 출현하는 쪽으로 나아갈 수 있다.

초보, 연쇄, 포트폴리오 창업가 간의 차이는 행동 기반 분류의 한 예이다.[95] 초기 창업에 관심 있는 학자들은 기회 활용의 단일 행위보다는 신생 기업 출현에 있어서의 일련의 행동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98][101][100] 실제로 초기 창업가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사업을 더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행동을 포함하여 수많은 창업 활동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초기 창업가들은 종종 시설과 장비를 찾고 구매하며, 재정적 지원을 구하고 얻고, 법인을 설립하고, 팀을 구성하며,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자신의 사업에 쏟는다.[102]

4. 6.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 정신

프로젝트 기업가는 임시 조직을 반복적으로 조립하거나 생성하는 사람들이다.[103] 이들은 수명이 제한되어 있고 단일 목표 달성에 전념하며 프로젝트가 끝나면 신속하게 해체되는 조직이다. 프로젝트 기반 기업이 널리 퍼져 있는 산업에는 음반 제작, 영화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 텔레비전 제작, 뉴미디어, 건설이 포함된다.[104] 이론적 관점에서 프로젝트 기업가를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새롭게 등장하는 프로젝트 기회의 요구에 맞게 이러한 임시 사업체를 "재구성"하고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프로젝트에 특정 접근 방식과 팀을 사용한 프로젝트 기업가는 후속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 모델이나 팀을 수정해야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기업가는 기업가 과정의 전형적인 문제와 과제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105] 실제로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는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는 데 항상 나타나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에 직면한다. 프로젝트 사업을 시작할 적절한 기회를 찾고 그 기회를 활용할 가장 적절한 팀을 구성하는 것이다.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려면 프로젝트 기업가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정보에 접근해야 한다.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려면 프로젝트의 특정 과제에 잘 맞고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위험을 줄이기 위해 거의 즉시 기능해야 하는 협업 팀을 구성해야 한다. 또 다른 유형의 프로젝트 기업가 정신은 기업가가 경영학과 학생들과 협력하여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4. 7. 사회적 기업가 정신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스타트업 및 기타 기업가가 사회적, 문화적 또는 환경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발, 자금 조달 및 실행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106] 이 개념은 다양한 규모, 목표 및 신념을 가진 다양한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107] 영리 기업가는 일반적으로 이윤, 매출 및 주가 상승과 같은 사업 지표를 사용하여 성과를 측정하지만, 사회적 기업가는 비영리 단체이거나 영리 목표와 긍정적인 "사회적 수익" 창출을 결합하므로 다른 지표를 사용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일반적으로 자원봉사 부문[108]과 관련된 빈곤 완화, 의료[109] 및 지역사회 개발과 같은 분야에서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및 환경적 목표를 달성하려고 시도한다. 때로는 조직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영리 사회적 기업이 설립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예를 들어, 노숙자에게 주택과 고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조직은 자금을 모으고 노숙자에게 고용을 제공하기 위해 식당을 운영할 수 있다.

뉴컴브 칼리지 연구소의 그린 클럽 학생 조직자들은 2010년 사회적 기업 조직을 설립했습니다.

4. 8. 생물권 기업가 정신

생물권 기업가 정신은 "생물권과 생태계 서비스에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활동"이다.[110] 이는 비즈니스 스쿨에서 환경 관련 주제를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통합하려는 더 큰 추세의 일부이다.[111]

5. 기업가적 행동

사업을 담당하는 사람을 '''기업가'''라고 부른다. 벤처는 새로운 기업뿐만 아니라 기존 기업이 새롭게 사업에 도전하는 경우도 포함한다.[187]

벤처는 다음과 같은 기대를 받는다.


  • 새로운 시장 분야 개척[187]
  • 신규 고용 창출[187]
  • 새로운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창출[187]


창업이 활발한 이스라엘은 "스타트업 국가"라고 불린다.[185]

5. 1. 불확실성 인식과 위험 감수

기업가는 자신의 경력과 재정적 안정을 위태롭게 하고 아이디어를 위해 위험을 감수하며, 불확실한 사업에 시간과 자본을 투자할 의향이 있다.[112] 그러나 기업가들은 종종 자신이 엄청난 위험을 감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다른 사람들만큼 불확실성의 수준을 높게 인식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랭크 나이트(Frank Knight)는 세 가지 유형의 불확실성을 분류했다.[112]

  • 위험(Risk): 통계적으로 측정 가능한 것(예: 빨간 공 5개와 흰색 공 5개가 들어 있는 항아리에서 빨간 공을 뽑을 확률)
  • 모호성(Ambiguity): 통계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것(예: 빨간 공 5개가 들어 있지만 흰색 공의 개수가 알려지지 않은 항아리에서 빨간 공을 뽑을 확률)
  • 진정한 불확실성: 통계적으로 추정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것(예: 색깔 공의 개수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항아리에서 빨간 공을 뽑을 확률)


기업가 정신은 종종 진정한 불확실성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점진적인 개선을 만드는 경우가 아니라 이전에 존재하지 않던 시장을 위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5. 2. 기회 인식

기업가는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사업화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19세기 초, 프랑스 경제학자 장-바티스트 세이는 기업가 정신을 "경제적 자원을 생산성이 낮은 영역에서 생산성과 수익률이 더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기업가는 새롭고 독특한 것을 창조하며 가치를 변화시킨다.[11]

기업가가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14]

조건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자원을 재결합할 수 있는 기회나 상황
특정 개인에 대한 우선적인 접근 권한이나 기회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일정 수준의 위험 감수
사람과 자원의 조직화



이스라엘 키르즈너는 대부분의 혁신이 빨대 제조에서 종이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것과 같은 점진적인 개선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업가적 기회 활용은 다음을 포함한다.[16]


  • 사업 계획서 개발
  • 인적 자원 고용
  • 재정 및 물적 자원 확보
  • 리더십 제공
  • 사업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책임
  • 위험 회피


요제프 슘페터는 경제에서 기업가의 역할을 "창조적 파괴"로 보았는데, 이는 기존 산업을 파괴하고 새로운 산업과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혁신을 의미한다. 슘페터에게 있어서 혁신적인 기업가가 가져온 변화와 "역동적인 경제적 균형은 건강한 경제의 표준"이었다.[17]

기업가는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충족되지 않은 시장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긍정적인 편향을 보이며, 사업 기회를 활용할 가능성이 더 높은 위험 감수 경향을 보인다.[23][24]

5. 3. 의사소통

기업가는 신생 기업을 설립하고 성장시키며 생존을 가능하게 하려면 회사 내부와 외부 파트너 및 투자자 모두와 효과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기업가에게는 회사 직원을 연결하고 회사를 외부 회사 및 고객과 연결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업가는 카리스마적 리더가 되어야 하므로 팀에게 비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강력한 팀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추종자들에게 비전을 전달하는 것은 혁신적인 리더의 가장 중요한 행위일 수 있다.[122] 매력적인 비전은 직원들에게 목적의식을 부여하고 헌신을 장려한다. 비전은 서면 진술과 대면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123][124] 기업가적 리더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비전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말하고 들어야 한다.[125]

소통은 기업가 정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리더가 잠재적 투자자, 파트너 및 직원들에게 신생 기업의 실현 가능성을 설득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126] 기업가는 주주들에게 효과적으로 소통해야 한다.[127] 목소리의 톤, 발신자의 눈빛, 바디랭귀지, 손짓, 감정 상태와 같은 말하기의 비언어적 요소도 중요한 의사소통 도구이다. 의사소통 조정 이론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는 방식을 수용하거나 조정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28] 안면 협상 이론은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 갈등 협상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설명한다.[129] Hugh Rank의 "강조와 축소" 의사소통 모델은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가가 사용할 수 있다. Rank는 기업가가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장점을 강조하고 단점을 축소하여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사업을 지원하도록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30]

5. 4. 리더십

기업가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계획, 조직 및 자원 배치를 통해 시장 기회를 활용하는 리더이다.[46] 이는 종종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거나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혁신을 통해 이루어진다.[46] 기업가 정신에서의 리더십은 "공통된 과업 달성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도움과 지원을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158] 이는 "혁신을 경제적 상품으로 전환하기 위해 혁신, 자금 조달 및 사업 감각을 수행하는 사람"에 대한 것이다.[159]

이는 단순히 사업 관리 또는 창업이라는 기업가 정신 행위뿐 아니라, 이러한 사회적 과정 또는 리더십 기술을 통해 어떻게 그렇게 하는가를 의미한다. 기업가는 일반적으로 불확실한 시기에 잠재적 기회를 찾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160]

세계 시장의 성장과 모든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사용 증가와 함께, 기업가 정신의 핵심과 의사결정은 고립된 사건이 아닌 지속적인 과정이 되었다. 이는 지식 관리가 되는데, 조직이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 교환 및 창출 메커니즘을 구축"하기 위한 "지적 자산의 식별 및 활용"이다.[161] 과거의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은 일반적인 격언이므로, 리더는 자신의 실패를 자신의 이익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 이것이 기업가 정신 의사결정의 핵심에 리더로서의 경험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의 성공과 실패는 리더가 지역 상황에 적응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165] 점점 더 글로벌화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성공적인 리더는 다른 문화에 적응하고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비전은 조직이 다른 문화에서 운영되거나 서비스/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초국가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166]

미국에서 널리 퍼져 있는 참여적 리더십 스타일은 권력 거리의 차이로 인해 세계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무례한 것으로 간주된다.[164] 많은 아시아 및 중동 국가에는 부하 직원이 관리자/상사에게 비공식적으로 접근하는 일이 없는 "열린 문" 정책이 없다. 그러한 국가의 경우 권위주의적 관리 및 리더십 접근 방식이 더 일반적이다.

6. 기업가 정신과 교육

Michelacci와 Schivardi는 기업가의 수입과 교육 수준 간의 관계를 통해 성공률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대학 학위와 대학원 학위라는 두 가지 교육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교육과 성공 간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대학 수준의 지식은 직장에서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았다.[167]

Michelacci와 Schivardi는 학사 학위 소지 자영업자 수가 증가했지만, 대학원 학위 소지 자영업자 비율은 약 33%로 일정하게 유지됨을 보였다. 스티브 잡스마크 저커버그 같은 대학 중퇴 기업가도 있지만, 많은 기업가들이 정규 교육을 기회비용이 크다고 보아 예외로 간주한다.[167]

6. 1. 기업가 정신 교육의 필요성

Michelacci와 Schivardi는 기업가의 수입과 교육 수준 간의 관계를 통해 성공률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대학 학위와 대학원 학위 소지자의 자영업자 수를 비교했는데, 대학원 학위 소지자의 비율은 시간이 지나도 약 33%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들은 스티브 잡스마크 저커버그처럼 대학 중퇴 후 성공한 기업가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가에게 정규 교육은 기회비용이 크다고 보았다. 따라서 개인이 성공하려면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며, 대학 교육은 사업 운영에 필요한 추가적인 기술을 제공하여 더 높은 수준에서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한다고 주장한다.[167]

미국에서는 창업이 문화와 전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아이들이 시작하는 잔디 깎기나 레모네이드 판매 사업 외에도 초등학생을 위한 창업 실전 가이드 서적도 있다. 1946년경부터 교육 기관에서 기업가 정신 교육 강좌가 개설되기 시작하여, 20세기 말에는 500개가 넘는 대학에서 기업가 육성 강좌가 개설되었다.[186]

미국 정부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신생 기업을 지원해왔다.[187] 실리콘밸리에서는 벤처 기업의 창출과 성장이 자율적으로 촉진되어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탄생했다.[187] 『포브스 Global 2000』에 따르면, 미국 기업 466개사 중 3분의 1인 154개사가 1980년 이후에 설립되었으며, 이 회사들의 2013년 5월 시점 시가총액은 약 3.8조달러였다.[187] 미국에서는 민간 고용의 약 10%가 벤처 기업에 의해 창출되고 있다.[187]

창업 시 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창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191] 자금력과 경영 노하우가 부족한 창업 초기에는 인큐베이터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학교 등이 인큐베이터 설립에 참여하면서 창업 지원 체계가 점차 갖춰지고 있다.

6. 2. 한국의 기업가 정신 교육

한국에서는 과거 실업 교육이 중단되면서 기업가 정신 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최근에는 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이 다시 활성화되고 있으며, 초·중등 교육에서도 기업가 정신 교육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문재인 정부는 혁신 창업 국가 건설을 목표로, 창업 지원 정책과 기업가 정신 교육을 강화했다.

7. 기업가 정신과 자원

기업가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다. 이러한 기업가적 자원은 유형 및 무형 자산 모두를 포함하며, 기업 활동과 서비스 창출의 기반이 된다.[168]

기업가적 자원은 크게 유형 자원과 무형 자원으로 나뉜다.[169] 유형 자원은 건물, 장비, 현금 등 물리적 형태를 가진 자산이며, 무형 자원은 기술, 경험, 브랜드 평판, 지적 재산권 등 비물리적 자산을 의미한다.[170][171]

창업 초기에는 자금 조달과 경영 노하우 확보가 중요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인큐베이터 지원, 대학교의 창업 지원, 상법 개정을 통한 자본금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 있다.[191][192] 엔젤 투자자에 대한 세제 혜택도 제공되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193]

많은 기업가들은 외부 투자 유치 대신 자체 자금 조달(bootstrapping)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는 지분 희석과 경영권 간섭을 피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전략이다.[172] 자체 자금 조달 방법에는 개인 저축, 운전자본 관리, 간접비 절감, 린 생산 방식 전략 등이 있다.[174]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한 경우,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엔젤 투자자, 벤처 캐피탈, 주식 크라우드펀딩 등 사모 주식 옵션과 은행 대출, 소액금융, 상인 현금 선불 등 부채 옵션을 활용할 수 있다. 정부 보조금이나 사업 경연 대회 참여도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이다.

법인세, 상속세, 소득세 등 세금은 기업가 정신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5] 법인세는 이중과세를 피하기 위해 기업가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지만, 높은 법인세율은 기업가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176] 누진적 소득세는 자영업자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77] 그러나 세금이 기업가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178]

7. 1. 기업가적 자원

기업가적 자원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을 가진 기업이 소유한 모든 자산을 의미한다. 유형 및 무형의 경제적 가치 창출 자원 모두 기업가적 자원으로 간주된다. 이들의 경제적 가치는 기업가에 의한 활용을 통해 활동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데 있다.[168] 기업가적 자원은 크게 유형 자원과 무형 자원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169]

유형 자원은 장비, 건물, 가구, 토지, 차량, 기계, 재고, 현금, 채권, 재고품 등 물리적 형태를 가지고 수량화할 수 있는 물질적 자원이다. 반면 무형 자원은 비물리적이거나 식별 및 평가가 더 어렵지만, 특정 분야의 기술과 경험을 포함한 인적 자원, 기업의 조직 구조, 브랜드 이름, 평판, 홍보 및 재정 지원에 기여하는 기업가 네트워크, 노하우, 저작권, 상표 및 특허를 포함한 지적 재산권 등 더 많은 가치 창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170][171]

7. 2. 자금 조달

창업 초기에는 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일반 대상 창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191] 자금력과 경영 노하우가 부족한 경우에는 인큐베이터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학교 등이 인큐베이터 설립에 나서면서 창업 지원 체계가 점차 갖춰지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창업을 쉽게 하기 위해 1990년 상법 개정 당시 회사 설립 시 자본금 규제 ( 주식회사는 1000만 이상, 유한회사는 300만 이상)를 완화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법률을 정비했다. 2006년 5월 회사법 시행으로 자본금 규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192]

형식적으로는 자본금 1JPY으로 회사 설립이 가능하지만, 업종에 따라 최저 자본금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설립 등기 비용도 60000JPY 이상 소요된다. 또한, 현재 화폐 가치에서 자본금 1JPY인 기업의 존재 의의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창업 초기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엔젤에 대한 세제 우대 조치도 실시되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혜택이 적다는 지적도 있다.[193]

7. 2. 1. 자기 자금 조달 (Bootstrapping)

기업가들은 처음부터 외부 투자자를 찾는 대신, 자체 자금 조달(bootstrap-finance)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가들이 자체 자금 조달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분금융을 얻으려면 투자자에게 소유 지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스타트업이 나중에 성공한다면, 초기 지분 금융 거래는 투자자에게는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기업가에게는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투자자가 회사의 상당한 지분을 가지고 있다면, 회사 전략, 최고경영자(CEO) 선택 및 기타 중요한 의사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 투자자와 창업자의 장기적인 회사 목표에 대한 인센티브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수익성 있는 엑시트(exit)를 목표로 하며, 회사의 고평가 매각 또는 IPO를 통해 지분을 매각하는 것을 촉진한다. 반면에 기업가는 인류애적인 의도를 주된 동기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밸류(soft values)는 상장 회사가 종종 주주로부터 받는 연간 및 분기별 이익에 대한 단기적 압력과 잘 맞지 않을 수 있다.[172]

부트스트래핑은 "은행 및 투자자로부터 필요한 외부 부채 및 자본 조달 금액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173]

부트스트래핑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74]

  • 자체 자금 조달 (저축, 개인 대출, 신용카드 부채 포함)
  • 운전자본 관리를 통한 매출채권 최소화
  • 공동 사용 (예: 코워킹이나 독립 계약자 활용)을 통한 간접비 절감
  • 지불 지연 또는 장비 임대를 통한 매입채무 증가
  • 재고 최소화 및 린 스타트업을 통한 제품 개발 비용 절감과 같은 린 생산 방식 전략
  • 정부 보조금

7. 2. 2. 추가 자금 조달

많은 기업은 소유주가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자본보다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종류의 사모 및 공모 주식, 부채, 그리고 보조금을 포함한 다양한 옵션을 이용할 수 있다.

사모 주식 옵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 엔젤 투자자
  • 벤처 캐피탈 투자자
  • 주식 크라우드펀딩
  • 헤지 펀드


기업가들이 이용할 수 있는 부채 옵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은행, 특수 금융 회사(예: 신용카드 회사) 및 경제 개발 기관의 대출
  • 은행 및 특수 금융 회사의 신용 한도
  • 소액 대출이라고도 알려진 소액금융
  • 상인 현금 선불
  • 수익 기반 금융


기업가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보조금 옵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자기 자본 없는 액셀러레이터
  • 대학생 기업가 및 기타 사람들을 위한 사업 계획/사업 제안 경연 대회
  • 미국 정부의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 보조금


창업 시 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일반 대상 창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191] 또한, 자금력과 경영 노하우가 부족한 창업 초기에는 인큐베이터의 지원을 받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대학교 등이 인큐베이터 설립에 나서면서 창업 지원 체계가 점차 갖춰지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창업하기 쉬운 법제도를 만들기 위해, 1990년 상법 개정 당시 존재했던 회사 설립 시 자본금 규제에 대해, 회사원 등 사업 경영자가 아닌 자가 설립하는 경우에 한해 자본금 규제를 완화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법률 정비를 실시했다. 2006년 5월에는 회사법이 시행되었지만, 동법에서는 자본금 규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192]

형식적으로는 자본금 1JPY으로 회사 설립이 가능하다. 하지만, 업종에 따라 개별 법령에서 최저 자본금 제한이 존재하며, 설립 등기 비용이 60000JPY 이상 소요된다. 애초에 현재의 화폐 가치에서 자본금 1JPY인 기업의 존재 의의에 대한 문제도 있다.

일련의 법률 정비에서는, 창업 초기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엔젤"이라고 불리는 개인 투자자에 대한 세제 우대 조치도 실시되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혜택이 적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193]

7. 3. 세금의 영향

세금은 기업가 정신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5] 기업가들은 유동성 제약에 직면하고,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빌리는 데 필요한 신용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금이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175]

세자이르 아사 메(Cesaire Assah Meh)는 법인세가 이중과세를 피하기 위해 기업가가 되도록 유인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75] 도널드 브루스(Donald Bruce)와 존 데스킨스(John Deskins)는 더 높은 법인세율이 주의 기업가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견했다.[176] 또한, 상속세가 있는 주는 세금 기반 척도를 사용할 때 기업가 정신 비율이 더 낮은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176] 그러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누진적 소득세가 더 높은 주일수록 근로자 중 자영업자의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177]

많은 연구에서 세금이 기업가가 될 확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브루스와 모하메드 모신(Mohammed Mohsin)은 최고 세율이 50%포인트 하락해야 기업가 활동이 1% 변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78]

8. 성공적인 기업가의 특징

성공적인 기업가는 개인적 특성, 전략 및 경영 능력, 그리고 외부 환경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의 로스 레빈과 런던정경대학교의 요나 루빈스타인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가들은 젊은 시절 공격적이고 불법적인 위험 감수 행위를 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유하고 고등 교육을 받은 백인 남성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이들은 적성 검사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기록했다.[134] 스탠퍼드대학교의 에드워드 레이저는 2005년 연구에서 교육과 직무 경험의 다양성이 기업가와 비기업가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밝혔다.[138]

뉴욕시에서 열린 델(Dell) 여성 기업가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


최근 연구들은 기업가를 특징짓는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미래에 기업가가 될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기업가적 성격은 높은 자기 효능감, 자율성, 혁신성, 내적 통제점, 성취 동기, 낙관주의 및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이 있다.[153][154]

일부 학자들은 "전략적 기업가정신"이라는 하위 범주를 만들었다. 전략적 경영 원칙과 밀접하게 관련된 이러한 형태의 기업가정신은 "성장에 관심을 두고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소유주에게 부를 창출하는 것"이다.[157]

기업가적 성공 요인[179]
범주요인
방법
시장
산업


8. 1. 개인적 특성

기업가적 성공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의 로스 레빈(Ross Levine)과 런던정경대학교의 요나 루빈스타인(Yona Rubinstein)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가들은 젊은 시절 "공격적이고 불법적인 위험 감수 행위"를 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유하고 고등 교육을 받은 백인 남성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이들은 적성 검사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기록했다.[134]

스탠퍼드대학교의 에드워드 레이저(Edward Lazear)는 2005년 연구에서 교육과 직무 경험의 다양성이 기업가와 비기업가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밝혔다.[138] 2013년 독일 취리히대학교의 우시 바케스-겔너(Uschi Backes-Gellner)와 시겐대학교의 페트라 무그(Petra Moog)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 또한 기업가가 될 학생들의 중요한 특징이었다.[139][140]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기업가의 심리적 성향은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 실증 연구에 따르면 여성 기업가는 뛰어난 협상 기술과 합의 형성 능력을 가지고 있다.[141] 예스퍼 쇠렌센(Jesper Sørensen)은 2010년에 기업가가 되기로 결정하는 데 직장 동료와 사회적 구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 전직 기업가와 함께 일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기업가가 될 확률이 더 높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했다.[143]

기업가들은 과거 경험에 의해 기업가 정신으로 이끌릴 수도 있다. 과거에 여러 차례 일자리를 잃거나 실직을 경험한 사람일수록 기업가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142] 혁신적인 기업가는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가

최근 연구들은 기업가를 특징짓는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미래에 기업가가 될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기업가적 성격은 높은 자기 효능감, 자율성, 혁신성, 내적 통제점, 성취 동기, 낙관주의 및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이 있다.[153][154]

8. 2. 전략 및 경영

성공적인 기업가는 다음과 같은 전략 및 경영 능력을 갖추고 있다.[179]

일부 학자들은 "전략적 기업가정신"이라는 하위 범주를 만들었다. 전략적 경영 원칙과 밀접하게 관련된 이러한 형태의 기업가정신은 "성장에 관심을 두고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소유주에게 부를 창출하는 것"이다.[157] 2011년 경영학회 논문에서는 전략적 기업가정신의 3단계 "투입-과정-산출"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의 세 단계는 다양한 자원의 수집, 필요한 방식으로 자원을 조정하는 과정, 그리고 이후 경쟁 우위, 고객 가치, 부 및 기타 이점의 창출을 포함한다. 전략적 경영/리더십 기법의 적절한 사용과 위험 부담이 따르는 기업가적 사고의 구현을 통해 전략적 기업가는 가치와 부를 창출하기 위해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157]

기업가적 성공 요인[179]
범주요인
방법
시장
산업
회사
상황


8. 3. 외부 환경

기업가적 성공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방법'''

  • 성장 및 생존 전략을 포함한 회사 전략 수립
  • 유능한 직원 및 임원 채용 및 유지를 위한 인적 자원 관리
  • 제조에 사용되는 원자재, 컴퓨터 칩 등 필요한 자재 확보
  • 회사가 하나 이상의 독점적인 경쟁 우위 확보
  • 우수한 조직 설계, 건전한 거버넌스 및 조직 조정
  • 사회 문화와의 일치[180]


'''시장'''

  • 기업 간 거래(B2B) 또는 기업 소비자 거래(B2C) 모델 사용 가능
  • 고성장 시장
  • 다른 기업들이 활용하지 않거나 간과한 표적 고객 또는 시장


'''산업'''

  • 성장하는 산업
  • 산업에 대한 높은 기술 영향
  • 높은 자본 집약도
  • 작은 평균 기존 기업 규모

참조

[1] 웹사이트 Entrepreneur: What It Means to Be One and How to Get Started https://www.investop[...] 2022-12-25
[2] 웹사이트 What is entrepreneurship?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eb.archive.[...] 2016-01-21
[3] 논문 Entrepreneurship https://resolver.cal[...]
[4] 논문 All the right moves: How entrepreneurial firms compete effectively https://web.stanford[...] 2012-06-07
[5] 논문 The Econom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6] 서적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urope: Prospects and Challenges Taylor & Francis
[7] 논문 Social constructionism and entrepreneurship: Basic assumptions and consequences for theory and research 2009-01-01
[8] 서적 Handbook of Qualitative R Methods in Entrepreneurship Edward Elgar Publishing
[9] 서적 Entrepreneurship at the limits Frederiksberg: Copenhagen Business School (CBS)
[10] 논문 Contextualizing Entrepreneurship: Conceptual Challenges and Ways Forward 2011-01-01
[11] 논문 Entrepreneurship and context: when entrepreneurship is greater than entrepreneurs 2017-01-01
[12] 논문 Ambivalence and ambiguity in social enterprise; narratives about values in reconciling purpose and practices 2011-03-01
[13] 논문 The entrepreneurship of resource-based theory 2001-12-01
[14] 서적 A general theory of entrepreneurship: the individual-opportunity nexus E. Elgar
[15] 논문 The regional entrepreneurial lens: An ASEAN 5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https://rdcu.be/dWrV[...]
[16] 서적 Entrepreneurship McGraw-Hill Education
[17] 웹사이트 Entrepreneurial Ambition – Innovation Provincial Rankings – How Canada Performs https://web.archive.[...] Conference Board Canada 2020-12-29
[18] 웹사이트 Why everyone will have to become an entrepreneur https://www.entrepre[...] 2013-09-03
[19] 웹사이트 Venture Investment – Regional Aggregate Data https://web.archive.[...]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and PricewaterhouseCoopers 2016-04-23
[20] 논문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21] 논문 Docto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22] 논문 A realist perspective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as propensities
[23] 논문 The Study of Bias in Entrepreneurship http://psyarxiv.com/[...]
[24] 논문 Entrepreneurial success: differing perceptions of entrepreneurs and venture capitalists 2010-08-01
[25] 논문 Developing Entrepreneur Skills for Corporate Work https://web.archive.[...] 2013-10-01
[26] 서적 A Brief History of Entrepreneurship: The Pioneers, Profiteers, and Racketeers Who Shaped Our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7] 서적 Richard Cantillon: Pioneer of Economic The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간행물 Richard Cantillon and the Nationality of Political Economy The Contemporary Review Company 1881-01-01
[29] 서적 Essai sur la nature du commerce en général MacMillan
[30] 간행물 A Paradigm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31] 서적 Pioneers in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research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32] 서적 Enterpris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https://archive.org/[...] Routledge
[33] 논문 Entry regulation and entrepreneurship: A natural experiment in German craftsmanship
[34] 서적 Asante Catholicism; Religious and Cultural Reproduction among the Akan of Ghana https://books.google[...] BRILL 1996
[35] 사전 entrepreneur
[36] oed entrepreneurism
[37] oed entrepreneurship
[38] 서적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 서적 Handbook on Organisational Entrepreneurship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2-09-09
[40] 서적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41] 서적 Pioneers in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Research https://books.google[...] Springer
[42]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9th (variorum) Ed https://books.google[...] Macmillan
[43] 서적 International Partnership in Russia: Conclusions from the Oil and Gas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Palgrave Macmillan 2020-09-09
[44] 서적 Chinese Entrepreneur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09-09
[45] 서적 A General Theory of Entrepreneurship: The Individual-opportunity Nexu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46] 웹사이트 A Glossary of Political Economy Terms, 2005 https://web.archive.[...] Auburn University 2014-07-20
[47] 웹사이트 Record-Breaking Entrepreneurial Growth in U.S. according to Latest GEM National Report https://www.gemconso[...] 2024-06-12
[48] 서적 Entrepreneurship in the United States: The Future Is Now https://books.google[...] Springer
[49] 서적 Angel Investing John Wiley & Sons
[50] 간행물 The role of the entrepreneur in small business success: the Entrepreneurship Scan http://www.onderneme[...]
[51] 뉴스 They Broke It https://www.nytimes.[...] 2009-01-09
[52] 서적 The Radical Potter: The Life and Times of Josiah Wedgwood Henry Holt and Company 2021
[53] 뉴스 Christmas: The mail order pioneer who started a billion-pound industry https://www.bbc.co.u[...] BBC 2024-06-19
[54] 논문 A survey of business historians on America's greatest entrepreneurs https://www.jstor.or[...]
[55] 논문 Management pioneer contributors: 30-year review https://www.sites.go[...] 2024-03-01
[56] 서적 The Business of Culture UBC Press
[57] 논문 Cultural Entrepreneurship: Stories, Legitimacy, and the Acquisition of Resources 2001
[58] 서적 Narrative and Discursive Approaches in Entrepreneurship: A Second Movements in Entrepreneurship Book. Edward Elgar Publishing
[59] 논문 Entrepreneurial narrative and a science of the imagination 2007
[60] 논문 The Context of Entrepreneurship http://wrap.warwick.[...] 2019
[61] 논문 Lessons from Iago: narrating the event of entrepreneurship 2007
[62] 논문 Explaining ethnic entrepreneurship: An evolutionary economics approach https://www.scienced[...] 2011
[63] 웹사이트 Out Of Print : Ethnic Enterprise in America: Business and Welfare Among Chinese, Japanese, and Blacks : Ivan Light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ttps://web.archive.[...] 2016-10-20
[64] 서적 The Palgrave Dictionary of Anglo-Jewish History Palgrave Macmillan 2011
[65] 뉴스 Fish & chips: Drinks & dishes you might not have realised were invented in London https://www.telegrap[...]
[66] 웹사이트 Slazenger, Ralph (1845–1910)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67] 웹사이트 Wimbledon: Official Partners https://www.wimbledo[...]
[68] 논문 Racialized Incorporation: The Effects of Race and Generational Status on Self-Employment and Industry-Sector Prestige in the United States 2015-06-01
[69] 논문 Why believe? The promise of research on the role of religion in entrepreneurial action https://www.scienced[...] 2019-06-01
[70] 논문 Toward a theological turn in entrepreneurship: How religion could enable transformative research in our field 2021-09-01
[71] 논문 Unpack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 institutional logics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18-07-03
[72] 논문 Entrepreneurship from an Islamic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15-08-01
[73] 서적 Feminine Capital: Unlocking the Power of Women Entrepreneurs http://www.sup.org/b[...] Stanford Business Books
[74] 논문 Feminist attributes and entrepreneurial identity 2011-11-08
[75] 서적 Physician as feminist entrepreneur: The gendered nature of venture creation and the Shirley E. Greenberg Women's Health Centre
[76] 논문 Embeddedness in context: understanding gender in a female entrepreneurship network 2019-03-15
[77] 서적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John Wiley
[78] 서적 Interest and agency in institutional theory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79] 논문 The institutional entrepreneur as modern prince: The strategic face of power in contested fields
[80] 논문 A Dark Side of Institutional Entrepreneurship: Soccer Balls, Child Labour and Postcolonial Impoverishment
[81] 서적 Entrepreneurship
[82] 논문 Institutional entrepreneurship in building the Brazilian market of functional yogurts https://zenodo.org/r[...]
[83] 뉴스 Generation next, Millennials will outnumber baby-boomers in 2019 https://worldin2019.[...] 2019-03-13
[84] 서적 Millennials Rising: The Next Great Generation https://books.google[...] Vintage Original 2013-10-17
[85] 뉴스 The 10 Richest Millennial Entrepreneurs in America https://www.inc.com/[...] 2017-06-06
[86] 웹사이트 The Missing Millennial Entrepreneurs https://www.sba.gov/[...] 2016-02-04
[87] 서적 The Entrepreneurial Process Quorum Books
[88] 서적 The entrepreneur: An economic theory Rowman & Littlefield
[89] 논문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90] 논문 Nascent entrepreneurship: empirical studies and developments
[91] 논문 Beyond the single-person, single-insight attribution in understand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92] 논문 From Opportunity Insight to Opportunity Intention: The Importance of Person-Situation Learning Match 2007-07-00
[93] 논문 The formation of opportunity beliefs: overcoming ignorance and reducing doubt
[94] 논문 Causation and effectuation: toward a theoretical shift from economic inevitability to entrepreneurial contingency
[95] 논문 The extent and nature of opportunity identification by experienced entrepreneurs
[96] 간행물 Developing a Staged Competency Based Approach to Enterprise Creation
[97] 논문 The business gestation process of novice, serial, and parallel business founders
[98] 논문 Legitimizing first: organizing activities and the survival of new ventures
[99] 논문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scribing the phenomenon of new venture creation
[100] 논문 Complexity dynamics of nascent entrepreneurship
[101] 논문 The tortoise versus the hare: Progress and business viability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leisure-based founders
[102] 논문 Exploring start-up event sequences
[103] 논문 The Relational Antecedents of Project-Entrepreneurship: Network Centrality, Team Composition, and Project Performance https://drive.google[...]
[104] 논문 Short-term projects and emergent careers: evidence from Hollywood
[105] 논문 Project entrepreneurs for project-based enterprises: Extension or complement to project management competencies?
[106] 웹사이트 The New Heroes https://web.archive.[...] 2005
[107] 웹사이트 The Meaning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caseatduke.or[...] caseatduke.org 2013-05-03
[108] 논문 The World of the Social Entrepreneur
[109] 서적 Entrepreneurship in Healthcare Routledge
[110] 논문 The emergence of biosphere entrepreneurship: are social and business entrepreneurship obsolete? http://www.inderscie[...] Inderscience Publishers 2021-11-13
[111] 뉴스 European business schools join forces to offer free climate training, November 11 2021 https://www.ft.com/c[...] 2021-11-11
[112] 서적 Risk, Uncertainty and Profit https://books.google[...] Cosimo, Inc.
[113] 논문 Frontopolar cortex and decision-making efficiency: comparing brain activity of experts with different professional background during an exploration-exploitation task 2014-01-22
[114] 논문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2000
[115] 보고서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02 Global Executive Report Kauffman Foundation
[116] 논문 What motivates entrepreneurial entry under economic inequality? The role of human and financial capital http://hum.sagepub.c[...] Sage 2015-07-01
[117] 논문 The genetics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118] 서적
[119] 논문 Who is a 'non-entrepreneur'? Taking the 'others' of entrepreneurship seriously
[120] 논문 Is There an Elephant in Entrepreneurship? Blind Assumptions in Theory Development; Business research https://www.uv.es/bc[...]
[121] 논문 Darwinians, Communitarians, and Missionaries: The Role of Founder Identify in Entrepreneurship
[122] 서적 Leadership: A communication perspective Waveland
[123] 논문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vision and vision communication to venture growth in entrepreneurial firms.
[124] 서적 The leadership challenge: How to get extraordinary things done in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Jossey-Bass
[125] 서적 The essence of leadership Lexington Books
[126] 논문 Language, communication, and socially situated cognition in entrepreneurship.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https://hal.archives[...]
[127] 논문 Communication matters—Network constellations in entrepreneurship.
[128] 서적 Language, social comparison and power. The handbook of communication science
[129] 서적 Toward a theory of conflict and culture in communication. Culture & Organizational processes
[130] 서적 Teaching about public persuasi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31] 뉴스 Disruptors are just pirates on the high seas of capitalism https://www.theglobe[...] 2014-11-05
[132] 논문 Booties, bounties, business models: a map to the next red oceans http://works.bepress[...] 2014-08-26
[133] 논문 The eye-patch of the beholder http://works.bepress[...] 2014-08-26
[134] 뉴스 Entrepreneurship: The Ultimate White Privilege? https://www.theatlan[...] 2013-08-16
[135] 논문 A new male entrepreneur? Media representation of male entrepreneurs before and after #metoo https://doi.org/10.1[...] 2020-01-01
[136] 웹사이트 The Average Age of Successful Entrepreneurs Is Actually 45 https://knowledge.wh[...]
[137] 뉴스 A Study of 2.7 Million Startups Found the Ideal Age to Start a Business (and It's Much Older Than You Think) https://www.inc.com/[...] Inc 2018-07-16
[138] 논문 Entrepreneurship 2005
[139] 논문 The disposition to become an entrepreneur and the jacks-of-all-trades in social and human capital 2013-12
[140] 웹사이트 Scientists have discovered a personality difference between entrepreneurs and employees http://www.businessi[...] 2015-02-25
[141] 서적 Entrepreneurship https://books.google[...] Paul Muljadi
[142] 학술지 Tax policy and entrepreneurship: empirical evidence from Sweden 2012
[143] 학술지 Workplace Peers and Entrepreneurship http://www.edegan.co[...] 2010-07
[144] 뉴스 Peers Influence Decision to Become an Entrepreneur http://www.gsb.stanf[...] 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News 2009-09-01
[145] 웹사이트 Entrepreneurial Behavior https://web.archive.[...] 2014-12-17
[146] 서적 Flow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47] 서적 Disrupting Class: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148] 서적 The Absorbent Mind Holt, Rinehart and Winston
[149] 학술지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Quality of Experience: A Comparison of Montessori and Traditional School Environments 2005-05
[150] 학술지 The functions and development of safety-specific trust and distrust
[151] 학술지 Cognitive Biases, Organization, and Entrepreneurial Firm Survival
[152] 학술지 The entrepreneur on the couch
[153] 학술지 A Dynamic Account of Self-Efficacy in Entrepreneurship https://ink.library.[...] 2020
[154] 학술지 Assessment of Eight Entrepreneurial Personality Dimensions: Validity Evidence of the BEPE Battery 2018
[155] 학술지 Perceptions of Victimhood and Entrepreneurial Tendencies 2022
[156] 학술지 Who becomes an entrepreneur? Early life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entrepreneurship 2012
[157] 학술지 Strategic Entrepreneurship: Creating Value for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158] 서적 An integrative theory of leadership https://books.goog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59] 서적 A General Theory of Entrepreneurship: The Individual-opportunity Nexu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3
[160] 서적 Strategic Management South-Western Cengage Learning
[161] 백과사전 Knowledge Management Blackledge
[162] 학술지 The Parochial Dinosaur: The Organizational Sciences in Global Context
[163] 서적 Changing Conceptions of Leadership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164] 서적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165] 학술지 Motivat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o American Theories Apply Abroad?
[166] 서적 International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7] 학술지 Are They All Like Bill, Mark, and Steve? The Education Premium for Entrepreneurs http://www.sciencesp[...] 2015-06-24
[168] 서적 Organizing Entrepreneurship Routledge
[169] 서적 Strategic Management Theory: An Integrated Approach South-Western College Pub
[170] 서적 Understanding Business Strategy: Concepts and Cases (Strategic Management) South-Western College Pub 2008-10-08
[171] 서적 Essentials of Strategic Management South-Western College Pub
[172] 서적 The Origin and Evolution of New Businesses http://www.bhide.net[...] Oxford University Press
[173] 학술지 Bootstrapping in small firms: An empirical analysis of change over time
[174] 서적 Encyclopedia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5] 간행물 Entrepreneurial Risk, Credit Constraints, and the Corporate Income Tax: A Quantitative Exploration 2002
[176] 논문 Can state tax policies be used to promote entrepreneurial activity? 2012
[177] 논문 Taxation and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2014
[178] 논문 Tax Policy and Entrepreneurship: New Time Series Evidence 2006
[179] 강의자료 Entrepreneurship Lecture( EED 126) D.S Adegbenro Polytechnic 2015-07-01
[180] 서적 The Illusions of Entrepreneurship: The Costly Myths That Entrepreneurs, Investors, and Policy Makers Live B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81] 논문 Stratification, Economic Adversity, and Entrepreneurial Launch: The Converse Effect of Resource Position on Entrepreneurial Strategy 2014-10
[182] 문서 財団法人ベンチャーエンタープライズセンターの定義による。
[183] 서적 データマップ日本 日本経済再生への処方箋 日本放送出版協会
[184] 간행물 中小企業白書(2019) 第2章 次世代の経営者の活躍 https://www.chusho.m[...] 中小企業庁 2021-02-24
[185] 웹사이트 スタートアップ国家で見た!イスラエル製「未来の生活」のすべて https://forbesjapan.[...] 2018-05-19
[186] 서적 金銭教育:小遣いから資産家の二世教育まで 総合法令
[187] 웹사이트 ベンチャー有識者会議とりまとめ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17-11-30
[188] 서적 起業家の輩出
[189] 서적 ベンチャー・起業と投資の実際知識 ニッセイ基礎研究所
[190] 뉴스 起業精神こそ資本主義の精華 日本の開業率はなぜ低いか https://toyokeizai.n[...] 2015-02-07
[191] 문서 創業塾、起業セミナー、起業向けの講習 日本商工会議所、地方公共団体、その他民間
[192] 웹사이트 最低資本金規制の特例制度について https://warp.ndl.go.[...] 経済産業省
[193] 뉴스 思想なきエンジェル税制 利用低迷が浮き彫りにする“官製平等国家”の限界 http://www.nikkeibp.[...] 2007-07-17
[194] 서적 ベンチャー・起業と投資の実際知識 ニッセイ基礎研究所
[195] 논문 「起業家育成」言説の登場とその変遷-企業内起業家育成から大学内起業家育成へ- https://hdl.handle.n[...] 愛知教育大学 2021-03
[196] 문서 大学におけるカリキュラム等の改革状況について 文部科学省
[197] 뉴스 九大起業部、創出第1号 診断ソフト開発ベンチャー https://www.nikkei.c[...] 2018-05-19
[198] 논문 기술창업자의 학습동기, 학습의지가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